Week 22250601(Sun)Week 23250602(Mon)250603(Tue)250604(Wed)250608(Sun)Week 24250612(Thu)Week 25250617(Tue)
Week 22
250601(Sun)
- 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수강
- DI(의존성 주입)
- AppConfig에서 의존성을 주입해준다
- IoC(Inversion of Control, 제어의 역전)
- AppConfig로 제어 권한을 준다
- 스프링 사용
ApplicationContext applicationContext = new AnnotationConfigApplicationContext(AppConfig.class); applicationContext.getBean("memberService", MemberService.class);
- 그리고 @Bean이 붙은 메소드의 이름을 스프링 빈의 이름으로 사용한다
- 스프링 컨테이너의 최상위 인터페이스
- BeanFactory를 상속
- 참고로 AnnotationConfigApplicationContext가 ApplicationContext를 구현한다
- 다양한 설정 정보를 추상화해서 사용하는 것
Week 23
250602(Mon)
- 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수강
- CGLIB을 이용하는 스프링 싱글톤 보장
- 이게 @Configuration를 붙여야 CGLIB으로 조작이 된다
- 7. 컴포넌트 스캔
- @ComponentScan
- @Component 붙은 애들은 빈으로 자동으로 등록해줌
- @Autowired: 의존관계 주입을 자동으로 해줌
- 패턴으로 익히고 설계로 완성하는 리액트
- 리팩토링
- 변수 이름 바꾸기
- 변수 추출하기
- 반복문을 파이프라인으로 바꾸기
- 함수 추출하기
- 매게변수 객체 도입
- 조건문 분해하기
- 함수 이동하기
- 리엑트 데이터 관리
- ACL(오류 방지 계층)
250603(Tue)
- 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수강
- 7. 컴포넌트 스캔
- @SpringBootApplication 안에 @ComponentScan 존재
- 8. 의존관계 자동 주입
- 주입 방식
- 생성자 주입
- 불변, 필수 의존관계에 사용
- 생성자 하나면 Autowired 생략 가능
- 이것만 final을 쓸 수 있다
- 수정자 주입(setter 주입)
- 선택, 변경 가능성이 있는경우(거의 없음)
- 필드 주입
- 사용하기 편하지만 외부에서 변경이 불가능한 단점 → 순수한 자바로는 테스트 불가능 → 사용을 지양
- 그러나 어플리케이션 실제 코드와 관련없는 테스트코드에서 사용하면 편하다
- 일반 메서드 주입
- 옵션 처리
250604(Wed)
- 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수강
- 9. 빈 생명주기 콜백
- 패턴으로 익히고 설계로 완성하는 리액트
- 리엑트 데이터 관리
- Context API
- 리엑트 설계 원칙 적용
- 합성 패턴
- 고차 함수
- 트랜스포머 함수를 넘기는 방식
- 고차 컴포넌트(HOC)
250608(Sun)
- 서버에서 클라이언트로 알림을 보내는 기법 강의
- 서버에서 클라이언트로 알림을 보내는 기법
- 코드 리뷰
Week 24
250612(Thu)
- 소마 프로젝트 모음 서비스
- 동적 사이트맵 제작
- FSD 패턴
Week 25
250617(Tue)
- Rust 공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