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벤트 루프에 대해서 설명해주세요.
자바스크립트의 이벤트 루프는 자바스크립트가 싱글 스레드 기반 언어임에도 불구하고 비동기 작업을 처리할 수 있게 해주는 중요한 메커니즘입니다.
자바스크립트는 기본적으로 한 번에 하나의 작업만 처리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벤트 루프가 콜 스택과 태스크 큐를 매개하면서 비동기 작업이 완료되면 그 결과를 처리할 수 있게 도와줍니다. 여기서, 콜 스택은 현재 실행 중인 함수들이 쌓이는 곳이고, 태스크 큐는 비동기 작업이 완료될 때 그 결과를 대기시키는 곳입니다.
이벤트 루프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간단한 예로
setTimeout(callback, 0)을 들어 보겠습니다. setTimeout(callback, 0)을 호출하면, 이 콜백 함수는 바로 실행되는 것이 아니라 웹 API에 의해 타이머가 설정되고, 그 타이머가 0밀리초 후에 만료되면 콜백 함수가 태스크 큐에 추가됩니다.
그 후 콜 스택이 비어 있는 시점에 이벤트 루프가 태스크 큐에서 대기 중인 callback을 꺼내서 실행합니다.따라서
setTimeout(callback, 0)을 호출해도 현재 실행 중인 모든 동기 작업들이 완료된 후에야 그 콜백이 실행됩니다. 이 때문에 setTimeout(callback, 0)을 사용하면 코드의 실행을 다음 이벤트 루프 사이클로 미뤄집니다.이와 같이 이벤트 루프는 자바스크립트의 비동기 작업을 처리하는 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벤트 루프 덕분에 자바스크립트는 UI 업데이트나 사용자 입력 처리를 수행하면서도, 비동기 작업을 블로킹 없이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습니다.
- 앞서 말씀하신 태스크 큐의 종류에는 무엇이 있나요? 🤔
태스크 큐는 매크로태스크 큐와 마이크로태스크 큐로 나뉩니다.
매크로태스크 큐는
setTimeout(), setInterval()과 같은 일반적인 비동기 작업들이 대기하는 큐입니다. 매크로태스크 큐의 작업은 이벤트 루프가 콜 스택과 마이크로태스크 큐의 작업을 모두 처리한 후, 하나씩 처리합니다.마이크로태스크 큐는
Promise.then()과 같이 중요도가 높은
작업들이 대기하는 큐입니다. 마이크로태스크 큐는 매크로태스크 큐보다 우선순위가 높습니다. 이벤트 루프는 콜 스택이 비어있는 시점에
매크로태스크를 실행하기 이전에 마이크로태스크 큐에 있는 모든 작업들을 먼저 처리합니다.이처럼 태스크 큐는 크게
마이크로태스크 큐와 매크로태스크 큐로 이뤄져 있으며, 마이크로태스크 큐 작업은 매크로태스크 큐 작업보다 우선적으로 실행됩니다.자바스크립트는 싱글 스레드 언어인데, 어떻게 동시에 여러 작업들을 수행하나요?
자바스크립트는 싱글 스레드 언어입니다. 즉, 한 번에 하나의 작업만을 처리할 수 있는 단일 콜 스택을 가집니다. 하지만 브라우저나 Node.js 환경이 제공하는 비동기 처리 메커니즘 덕분에 여러 작업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습니다.
자바스크립트는 브라우저의 Web API나 Node의 libuv, 이벤트 루프, 태스크 큐를 이용하여 비동기 작업을 동시에 처리합니다.
비동기 작업이 발생하면, 해당 작업(타이머, 네트워크 요청 등)은 브라우저의 Web API에 위임됩니다. 예를 들어,
setTimeout이나 fetch와 같은 작업이 수행되면 자바스크립트 엔진은 이 작업들을 Web API에 넘기고 다른 코드 실행을 이어갑니다. Web API에서 비동기 작업이 완료되면, 그 작업은 태스크 큐에 들어가 대기합니다.이후 이벤트 루프가 콜 스택이 비어있는지 확인한 뒤 태스크 큐에서
대기 중인 작업을 콜 스택으로 가져와 실행합니다. 이러한 구조 덕분에 자바스크립트는 싱글 스레드임에도 비동기적으로 작업을 처리하여 다양한 작업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 이 메커니즘 덕분에 UI 인터랙션이 끊기지 않으며, 대기 시간이 필요한 작업도 동시에 실행되는 것과 같이 동작하게 됩니다.
- 앞서 말씀하신 태스크 큐의 종류에는 어떤 게 있나요? 🤔
자바스크립트의 태스크 큐는 크게 매크로태스크 큐와 마이크로태스크 큐로 나뉩니다. 이들 큐는 비동기 작업의 우선순위를 관리하고, 이벤트 루프가 적절한 시점에 콜백을 실행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첫째, 매크로태스크 큐는 일반적인 비동기 작업의 콜백이 저장되는 큐입니다.
setTimeout, setInterval, I/O 작업, 이벤트 핸들러 등은 작업 완료 후 매크로태스크 큐에 콜백을 대기시킵니다. 매크로태스크 큐는 이벤트 루프의 한 번의 반복마다 하나의 태스크만 처리되므로, UI 업데이트나 다른 작업과 균형 있게 진행됩니다.둘째, 마이크로태스크 큐는 더 높은 우선순위가 필요한 비동기 작업들이 대기하는 큐입니다.
Promise.then, MutationObserver 등의 비동기 콜백이 여기에
저장됩니다. 이벤트 루프는 매크로태스크를 실행하기 전에 항상 마이크로태스크 큐를 먼저 확인하고, 모든 마이크로태스크를 처리한 후 매크로태스크로 넘어갑니다. 이 방식으로 마이크로태스크 큐의 작업은 높은 우선순위로 처리됩니다.타입스크립트를 사용하는 이유를 설명해주세요.
타입스크립트를 사용하는 주요 이유로 크게 세 가지를 들 수 있습니다.
첫째, 정적 타이핑을 통해 코드의 안정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개발 시 타입 오류를 런타임으로 실행하기 이전에 발견할 수 있어 런타임 에러를 줄이고, 코드의 품질을 개선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장점은 특히 대규모 프로젝트에서 두드러집니다.
둘째, 개발자의 생산성을 높여줍니다. IDE의 자동완성 기능과 인텔리센스가 더 많은 정보를 제공할 수 있게 되기 때문에 코드 작성 속도가 빨라지고, 리팩토링이 쉬워집니다. 또한 명시적인 타입 정의가 마치 문서화의 역할을 하여 코드의 가독성과 이해도가 높아집니다.
셋째,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의 일부 기능을 자바스크립트에 추가합니다. 인터페이스, 제네릭, 열거형 등 현대적인 프로그래밍 패러다임을 지원하여 더욱 구조화되고 확장 가능한 코드를 작성할 수 있습니다.
정리하면 타입스크립트는 자바스크립트의 한계를 극복하고, 안정성, 생산성, 기능성 을 향상시키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 타입스크립트를 도입하지 않는 것이 더 나은 경우도 있나요? 🤔
타입스크립트를 도입하지 않는 것이 더 적합한 프로젝트는 주로 개발 속도와 간단함이 중요한 소규모 프로젝트입니다. 예를 들어, 프로토타입 제작이나 단순한 랜딩 페이지처럼 빠른 개발 주기가 요구되고 복잡한 로직이 없는 경우, 타입스크립트를 설정하고 사용하는 것이 오히려 과도한 비용이 될 수 있습니다.
또한, 팀 내에 타입스크립트에 대한 경험이 부족하거나 러닝 커브를 극복할 시간이 없는 경우에도 도입을 신중히 고려해야 합니다. 타입스크립트는 초기 설정과 코드 작성이 더 엄격하기 때문에, 팀이 익숙하지 않다면 생산성이 오히려 저하될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기존 자바스크립트 프로젝트가 매우 방대하고, 타입스크립트로 전환하는 데 드는 비용이나 리소스를 감당할 수 없는 경우에도 도입이 적합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 점진적 도입 또는 순수 자바스크립트를 유지하면서 코드 리뷰와 테스트 강화로 대안을 마련할 수 있습니다.
- 타입스크립트를 새롭게 도입하는 것을 추진할 때, 팀원들을 어떻게 설득하실 건가요? 🧐
타입스크립트의 장점과 실질적 이점을 명확히 전달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먼저, 타입스크립트가 런타임 에러를 줄이고 코드 안정성을 강화한다는 점을 강조할 것입니다. 특히, 유지보수 비용이 큰 프로젝트나 복잡한 코드베이스가 있는 상황이라면, 타입 시스템이 협업과 코드 품질을 어떻게 개선할 수 있는지 실제 사례를 통해 차이점을 보여줄 것입니다.
다음으로, 초기 학습 곡선과 도입에 대한 부담을 완화할 수 있는 점진적 도입 전략을 제안할 것
같습니다. 예를 들어, 신규 코드에만 타입스크립트를 부분 도입하거나, 주요 모듈에 한정해 적용하는 방법을 제안해볼 것 같습니다.
또한, 팀이 학습에 부담을 느끼지 않도록 공식 문서, 타입스크립트 핸드북, 그리고 교육 자료를 제공하여 점진적으로 학습할 수 있는 여건이 마련되도록 노력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