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jango의 유저 모델들 Django에서는 기본적으로 유저 모델 django.contrib.auth.models의 User를 제공하고, 이를 통해 간편하게 인증 등을 처리할 수 있다. 또한 기본제공되는 유저모델을 확장할 수 있게 다음과 같은 다양한 방법이 있다. User에 기반한 Proxy Model 생성하기 1:1 로 User에 연결된 모델 만들기 AbstractUser 상속받아 커스텀 유저 모델 만들기 AbstractBaseUser 상속받아 커스텀 유저 모델 만들기 AbstractUser 모델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django.contrib.auth.models의 User을 사용하더라도, 이후에 유저 모델을 수정할 일이 생길수있다. 그런데 이후에 이를 수정한다면 그 과정이 매우 힘들기에, 기본적으로 ..
VSCode에서 바로 Poetry로 만든 가상 환경에서 작업 시에는 Poetry의 가상 환경 virtualenv가 인식이 되지 않는 문제가 있다. 이는 바로 Poetry가 작업 환경이 아닌 다른 로컬 폴더에 가상 환경을 저장하기 때문인데, 이를 수정하기 위해서는 작업 환경으로 가상 환경 폴더를 이동시켜주면 된다.poetry config virtualenvs.in-project truepoetry config virtualenvs.path "./.venv"poetry install위의 명령어로 가상 환경의 이동이 끝났다면, VSCode를 재시작 해주면 자동으로 인식하여 인터프리터를 잡아 준다. 이상태에서도 게속 제대로 환경을 잡지 못한다면, Cmd + Shift + P(Ctrl + Shift + P)를 눌..
파이썬은 node.js의 npm, yarn과 같은 패키지 매니저와 package.json처럼 표준화된 형식이 없다. 이에 파이썬의 다양한 가상 환경, 패키지 매니저를 정리하였습니다. 추천하는 것은 간단하게 사용한다면, pip + venv를 사용하는 것을 추천하고 아니면 poetry 또는 pipenv를 추천합니다. pip 패키지 매니저 파이썬에서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패키지 매니저다. pip freeze > requirements.txt # 현재 설치된 패키지 목록을 저장한다 pip install -r requirements.txt # 패키지 목록에 있는 패키지를 설치한다 위와 같은 방식으로 패키지를 관리할 수 있다. 패키지 의존성을 확인하기 어렵다 https://github.com/pypa/pip GitH..